총평
- 일하는 방식, 스킨십
- 섭외 연사 중요
- 사전 요청 자료에 대한 정형화 필요
- 대학원생, 기관 스텝 참여에 관한 접근
- 적절한 인건비 수준
- 현장 경험 있는 조교 없이 진행하기 어려움
- 중간 중간 만들 수 있는 작은 장난감 준비
- 자료, 영수증 수집 어려움
- 온라인 행사 진행 시 노쇼, 오프라인 참여 시 반응 좋음
- 오프라인
- 유료 행사 10-20%
- 무료 행사 30-40%
- 사전 연락의 중요성
- 협업 체계
- 참가자 후기 공유
- 설문 결과 분석
- 특정 참가자 대상?
- 참가자 만족도 양호
- 사전에 이야기되지 않고 뒤늦게 할당된 일들이 많았다
- 준비: 준비물, 체크리스트, 실수상황 반복, 연사와의 소통
- 진행: 연사의 역량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음, 새로운 시도는 프로그램의 질이 보장되었을 때.
직접 연구 공간에 참여할 때 반응이 좋았음.
- 홍보: 보도자료에서 ESC의 모티브를 잘 드러낼 수 있는 기준 마련, 지역 신문 미비,
SNS 활용 원활(페이스북 페이지, 블로그), 양질의 포스터
- 인적자원
- 각 행사에 따른 업무 분장이 불분명하며,
- 체크리스트를 지휘할 책임자
- 좋은 연구자를 섭외
보고서 작성 계획
- 1월 22일 최종 보고서, 계량 실적보고서 제출
- 1월 29일 정산 서류 제출
제반 서류(정기영)
- 전문가 참여
- 영수증
- 성과물(보도자료, 기사, SNS, 포스터, 플래카드, 영상, 설문조사, 이벤터스)
- 예산 변경, 집행
- 12월 24일까지 협약 변경 신청
- 프리젠테이션?
매뉴얼(김찬현)
- 기관 오픈 시 참조할 수 있는 팁
- 도서 인쇄 배포 고려
예산(김찬현, 정기영)
- 12월 내 집행
- 잔액 1300만원
- 인건비 보충
- 영상 제작(매뉴얼 내용 포함)
- 유튜버
- 초기 취지: 플랫폼화, 매뉴얼 작성, 수익사업화
- 매뉴얼 목적
1회
로봇제작의 첫걸음: 캠, 링크, 기어
- 진행: 엄윤설, (권혜진, 권혜미)
- 스텝: 김미선, 김찬현, 유정숙, 정기영, 차지혜 (김신)
잘한 부분
- 코로나19로 인한 행사 장소 변경 대응
- 포스터, 플래카드 디자인
부족한 점
- 사전 준비물 미흡
⇒ 페이스 실드, 구급상자
⇒ 우드락
- 강연진과 사전 소통 미흡
- 프로그램 변경, 시간 지체
- 기어는 진행하지 않음(행사 직전에 연사가 통보)
- 안내 공지와 실제 참여자 차이
- 업무 순위와 분장이 명확하지 않아 인적 자원의 비효율적 배치
- 사전 준비가 부족한 임기응변식 진행
- 홍보와 실제의 괴리
- 유튜브 라이브 진행 준비 미비
- 섭외자 스케쥴 고려 미비
개선 방안
기존 피드백 회의 내용
안내 사항
큐시트를 꼼꼼하게 만들자